- 콘솔에서 setup 실행.
- Edit Devices 선택.
- eth0(설치된 네트워크 어댑터) 선택.
- Use DHCP의 * 표시는 자동으로 IP를 받기.
- Space Bar를 누르면 * 표시 제거.
- 고정 IP, 서브넷마스크, 게이트웨이 입력.
- 입력이 끝나면 Tab키를 이용하여 OK.
- DNS 주소 입력 후 OK.
- service network restart로 설정 적용
(또는 /etc/init.d/network restart).
- ifconfig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태 확인.
아니면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DEVICE=eth0
BOOTPROTO=dhcp // 또는 static 또는 none
HWADDR=24:F5:AA:AD:BF:37
ONBOOT=yes
IPV6INIT=no
IPADDR=192.168.0.101
BROADCAST=192.168.0.255
NETMASK=255.255.255.0
NETWORK=192.168.0.0
GATEWAY=192.168.0.1
- 역시 편집 후에는 service network restart로 설정 적용
(또는 /etc/init.d/network restart).
- ifconfig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태 확인.
번호 | 제목 | 날짜![]() |
조회 수 |
---|---|---|---|
8 | Server Xshell에서 숫자 키패드가 안 먹힐 때 | ||
7 | Server 특정 파일을 제외하고 압축 | ||
6 | Server disk 마운트 | ||
5 | Server 리눅스 배포판 확인 | ||
4 | Server centos5에서 부팅방법 결정 | ||
» | Server centos5 네트워크 설정 | ||
2 | Server Linux 서버에서 Disk 마운트 | ||
1 | Server Linux에서 DNS를 못 찾을 때 |